Back-end Developer/Server, Spring
-
Proxy (bean scope)Back-end Developer/Server, Spring 2020. 6. 24. 18:55
사실 이 글을 쓸지 말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뭔가 Spring만의 개념만 쓰기엔 아직 필요한 부분 외에는 공부가 덜 된 느낌이라..ㅎㅎ (지속해서 공부하며 추가하겠습니다.) Proxy 우선 Spring에서 Proxy가 어떻게 쓰이는지 알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Proxy가 무엇인지 알면 좋겠죠. 연관해서 이해가 가능할 수 있으니까요. 사전적 정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Proxy [ ˈprɑːksi ] 1. 대리(권) 2. 대리인 3. (측정·계산하려는 다른 것을 대표하도록 이용하는) 대용물 (출처: naver 사전) 단어의 의미를 보니.. 어느 정도 역할이 유추가 됩니다. 뭐.. 술자리에서 볼 수 있는 흑기사? 같은 느낌도 있구요. ㅎㅎ 대신 무언가 처리해 주는? 이러한 애들의 이름 앞에 'proxy ~..
-
Bean 그리고 scopeBack-end Developer/Server, Spring 2020. 6. 23. 18:49
지난번 Bean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 (IoC container, Bean 관련 개념이 아직 부족하시다면 간략히 이전 포스트 참고해 주세요.) Bean을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가 scope가 자동으로 singleton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라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scope가 무엇이고, 그 종류와 각 종류별 특징에 관련한 내용을 알아볼까 합니다. (->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두 가지 Singleton/Prototype와 관련한 내용을 포스팅 합니다.) 우선 사전적인 정의를 한번 보겠습니다. Scope [skoʊp] 명사 (무엇을 하거나 이룰 수 있는) 기회[여지/능력] (=potential) 명사 (주제 조직 활동 등이 다루는) 범위 동사 (비격식) 샅샅이[자세히] 살피다 이외에도 다양한 의미..
-
BeanBack-end Developer/Server, Spring 2020. 6. 22. 18:53
졸업 작품을 준비하며 Spring에 대해 처음 접했습니다. (많이 늦게 시작했죠.. 코딩 자체도 늦게 시작했습니다. ㅠ) 그 이후 다양하게 찾아봤지만 제대로 이해가 어려웠고, 흐름이 와닿지 않아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큰 개발 경험을 두 가지 정도 접해보고, 백기선님의 Spring 강의를 통해 다양한 개념을 잘 잡을 수 있었습니다. 홍보 아닌 홍보지만.. ㅎㅎ 개념잡기엔 정말 좋은 강의였다 생각합니다. 유료지만 혹시 스프링 개발을 몇 번 해보셨다면 꼭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흐름 파악에 좋았던 것 같고, 정석적인 코드 및 개념 습득에 매우 좋았습니다. 실제로 개발할 때는 상황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개발 자체를 위한 실습을 원하신다면 다른 강의를 추천드립니다. (이 글에 정리하는 내용 또한 개발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