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Spring Framework(eclipse), Mysql, Tomcat 설치 및 설정Back-end Developer/Spring Framework, 설정 및 실습 2018. 11. 28. 18:56
Version
제 PC 운영체제 및 버전 정보 입니다.
나름 12년도 신상이고.. 산지 2년정도? 된거같네요.
이딴
깡통에서도 충분히 됩니다. 본인 컴퓨터 성능이 걱정이라면 망설이지말고 시작하세요^^Eclipse: Eclipse Java EE IDE for Web Developers. (4.9.0)
MySQL: MySQL Community Server (8.0.13)
Tomcat: Apache Tomcat 8.0.53
STS(Spring Tool Suite): STS3, 3.9.6 Release
각 프로그램 설치는 위 링크를 참조하세요.
무료버전도 존재하니까 잘 읽고 설치하세요. 물론 제가 위에 써놓은 것들이 다 무료긴 합니다.
STS는 Eclipse 설치 후 마켓에서 설치할게요.
저는 원래 Eclipse를 사용해서... 이번에 하나 더 설치했어요. 스프링만 따로 쓰고싶어서.
번거롭게 왜 그렇게까지? 라고 생각 하실 수 있는데 그냥 제 성격이 이렇게 어이없는 상황에 결벽증 같은게 있어서 ㅎㅅㅎ;;
어쨌든 원래 Eclipse 쓰던분들은 나머지는 무시하고 마켓가서 STS설치부터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Eclipse 새로 설치하는 분들은.. 모르겠어요. 저는 한참 걸려서
컴퓨터 새로 장만하고 설치하는게 빠를거 같긴했는데..돈을 아끼고 인내심을 얻었죠.
어쨌든 모두 설치하셨다면, 다음 설정으로 넘어갑시다.
Settings
원하는 위치에 workspace(작업할 문서) 하나 생성하시고, 해당 workspace 위치에 tomcat 압축 풀어서 놓아주세요.
뭐 별로 의미는 없습니다. 저는 이게 편해서 이렇게 했으니.. 알아서 입맛에 맞게 구성해주세요!
우선 tomcat이 잘 도는지 확인해 볼게요.
Tomcat 확인
1) Terminal 실행
2) Tomcat bin 문서로 이동
ex) cd ~/본인 지정 경로/apache-tomcat-8.0.53/bin/3) ./startup.sh로 실행해봅니다. 터미널이 아래와 같이 뜨면 정상 실행!
4) 연결이 잘 되었는지 웹 페이지를 켜볼게요. tomcat 포트번호는 다들 아시다시피 8080이죠. localhost:8080에 접속해 보죠.
아래와 같이뜨면 잘 되는겁니다. 안되면 구글링해보세요.. 전 여기선 별 문제 없어서 ㅎㅎ..
5) 확인 다 하셨죠? 끄세요. (터미널 창에 ./shutdown.sh ㄱㄱ!)
Eclipse 실행 및 설정
이클립스를 실행해 보죠. 본인이 설정한 workspace 문서로 경로를 잡아주세요.
실행하셨으면 사용할 jre와 server를 설정할게요.
Eclipse -> 환경설정에서 또는 Window -> Preferences에서 실행할 작업들입니다.
Java -> Installed JREs -> Execution Environments
jre 설정
Server -> Runtime Environments
server 설정
위와 같이 본인이 사용하실 버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tomcat v8.5는 에러 발생한다고 그냥 v8.0 쓰라고 합니다.
Spring Tool Suite 설치
이제 플러그인 설치를 해볼게요.
Help -> Eclipse Marketplace ... -> 검색창에 STS 검색
그럼 아래와 같이 뜨는데, 저는 위에꺼 설치했어요. 4.0은 최신인거같은데.. 전 최신은 좀 꺼려하는 편이라 ㅎㅎ
설치를 시작하면 창이 뜨거나 또는 백그라운드로 설치가 진행 될 겁니다.
창이 안뜨고 이클립스 오른쪽 아래에 파란색 바가 채워지는게 보이면 백그라운드 진행이에요.
설치가 완료되면 이클립스 재실행 한번 하세요. 하라고 할거에요. 시킬때 합시다.
프로젝트 생성 및 실행
이제 스프링 프로젝트를 간단하게 하나 생성해 봅시다.
File -> New -> other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Spring Legacy Project'를 선택하세요.
다음을 누르면 아래창이 뜹니다. 프로젝트 이름 쓰시구요. Spring MVC Project 선택 -> Next 눌러주세요.
이후 최종적으로 최상위 패키지 명을 정의하고 완료를 누르시면 프로젝트가 생성 됩니다.
Run As -> Run on Server를 선택하시고 창이뜨면 Tomcat 8.0 버전 선택!
실행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뜹니다. 아래의 url은 웹페이지에서 실행해도 똑같이 결과가 나와요 ^___^/
※ 만약 클래스 이름과 패키지 등에 빨간줄이 뜨는 오류가 발생할 경우
1) Marketplace에서 STS를 지우고 Terminal로 들어갑니다. (이클립스는 꺼주세요.)
2) 터미널 초기 화면에서 'ls -al' 명령어 실행
3) .m2 파일이 있는지 확인
4) rm -rf .m2로 해당 파일을 지워주고 다시 이클립스로 들어가서 STS 재설치
5) 다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제 컴퓨터도 이 정도만 해도 되니까.. 대부분 유저분들은 다 되시리라 믿습니다.
MySQL 설치, 설정 및 실습
설치는 압축 풀어서 .dmg 파일 실행 후 따라하시면 금방 설치 합니다.
설치간 임시 비밀번호 창이 뜨면 꼭 따로 기록해 두었다가 로그인시에 사용해주세요.
저처럼 임시 비밀번호 창이 안뜨신 분들은 계정 암호 변경을 하셔야합니다.
실행
1. 우선 'cd /usr/local/mysql/bin/' 경로로 이동하세요.
2. 맥북의 시스템 환경 설정에 들어가면 가장 밑에 MySQL 아이콘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켜서 start 해주세요.
3. sudo ./mysql -p로 실행해주세요.
정상적으로 로그인하면 아래와 같이 뜨게됩니다. (위에 블러는 그냥 파일 이름인데 지워봤어요 ㅎㅎ)
간단한 실습 예제
DB 생성 및 조회
Table 생성 및 조회
데이터 삽입 후 조회
※ MySQL 설치 후 비밀번호 분실 또는 임시 비밀번호 창이 안뜨는 경우
1) 환경설정에서 MySQL을 종료시켜주세요.
2) 터미널을 열어 'sudo usr/local/mysql/bin/mysqld_safe --skip-grant-tables' 입력
3) 자신의 장비 비밀번호를 입력하시고 그 창은 그대로 두고 새로운 터미널창을 하나 더 열어주세요.
// 찾아보니 저 명령어를 치면 그 순간동안은 비밀번호없이 root 계정에 접근이 가능하다하네요.
4) 새로운 터미널에서 'sudo /usr/local/mysql/bin/mysql -u root' 를 입력하세요.
5) 'UPDATE User SET Password= PASSWORD('새로운 암호') where user='root' 또는
'UPDATE User SET Authentication_string= PASSWORD('새로운 암호') where user='root'를 입력하세요.
// 아래가 신버전이라고하니까 위에 명령어 해보고 안되면 아래걸로.. 전 아래 명령문이 되더라구요.
6) 이제 다시 MySQL을 실행하시면 로그인이 가능해집니다 \^___^/
이제 설정은 끝났네요. 사실 글로만보면 그렇게 안긴데.. 어제 에러 원인 찾고 고치는데 하루종일 했네요.. 후
컴퓨터를 좋은걸로 바꿔야하나 ㅎㅅㅎ..
- ref: 이 게시물은 한성대학교 김남윤 교수님의 웹 프레임워크 교육동영상(KOCW)을 참고했습니다.
교수님께서 하신 강의는 WindowOS 전용입니다.
반응형'Back-end Developer > Spring Framework, 설정 및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Annotation으로 의존성 주입하기 (0) 2018.12.16 5.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0) 2018.12.13 4. JSTL를 이용한 View에서 기능 처리 (참고) (0) 2018.12.11 3. JSP, Servlet을 활용한 MVC 패턴 설계 (0) 2018.12.05 2. Servlet 개념 정리 및 실습, 배포(deploy) (0) 2018.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