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8. MySQL workbench 활용.
    Back-end Developer/Spring Framework, 설정 및 실습 2018. 12. 21. 15:37

    저는 뭐.. DB 테이블 생성이나 관리시에 Terminal(cmd)로 명령어치는게 편한데

    강의를 들어보니.. 꽤나 기능들이 편리해서 이것도 그냥 따라 해봤어요.



    Workbench

    1. MySQL로 Database 설계
    2. Data CRUD 기능
    3. 서버 관리
    4. 성능 측정
    등등의 기능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Tool 입니다.



    workbench 설치 및 버전


    Mysql workbench: Community - 8.0.13



    위 링크 클릭하고 들어가서 설치 진행해주세요.

    아래 화면에서 알맞는 운영체제로 바꿔주시고, 다운로드 눌러주세요.



    아직 설치가 진행된게 아니에요. 읽어보시면 아래에

    'No thanks, just start download.' 이 부분 눌러주셔야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Database scheme 정의


    우선 workbench 실행하고 'new model' 클릭하시면 DB가 생성됩니다.

    그 다음으로 Database 이름 변경하고, 상단의 'add diagram' 버튼 눌러주세요.



    여기 체크해둔 탭에서 'place a new table' 눌러서 추가해주세요.

    (어떤 아이콘인지 까먹었네요..ㅎㅎ)



    생성된 Table 이름은 offers로 지정했구요. column 4개만 지정할게요.

    • Id는 각 column 별 유일한 번호를 부여하는 기능을 할 겁니다. 타입은 INT로 잡구요. 
    따라서 primarykey 조건을 달아주고, not null 조건과 auto increment도 체크해 줍시다.
    • name, email은 VARCHAR(45)로 지정해주세요.
    그리고 보통 일반적인 데이터에 not null을 걸어주진 않지만, 우린 완벽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체크 해볼게요.
    • text는 좀 길게 쓸 예정이라서 TINYTEXT(256)으로 잡았고 이건 null 값 허용해도 될 것 같으니 이대로 저장 해주세요.


    생성한 table을 제 프로그램 경로에 저장 할게요.

    table 저장을 위한 문서하나 생성해서 거기에 저장했습니다.

    Local instance로 돌아와서 좌측 하단 scheme을 새로고침 해보세요.

    생성한 table이 붙었나여...? 안 붙었네요..ㅠ

    즉, '아직 서버에 반영된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서버에 반영부터 시키죠. 상단 Database 탭 -> forward engineer 선택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continue.


    다시 continue 누르고 다음 페이지에서 export mysql table objects 체크 후 continue

    이제 실행될 코드를 보여줍니다. 알아서 잘 되겠죠? continue 누르고 설치 완료되면 닫아주세요.


    다시 아까 scheme 항목에서 새로고침 누르면 적용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Database 실행


    서버에 적용도 시켰겠다.. 실행한번 해봐야겠죠?

    좌측 상단의 'create new SQL' 아이콘 눌러서 파일 생성해주시구요. 

    csemall DB 오른쪽 버튼 눌러서 default scheme로 설정해주세요. ^___^



    'desc offers'를 통해 구성이 어떤지 출력해볼게요.



    이렇게 생겨먹었네요. 우리가 아까 정의한것처럼 똑같죠?

    'Select' 같은 구문을 사용해도 상관은 없지만, 따로 넣어둔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어떤 결과가 보이진 않습니다.



    Terminal에서 실습


    Terminal에서 확인도 가능해요.

    지난번 설정해둔 비밀번호로 MySQL 접속해서 'show databases;' 입력.



    csemall DB를 사용하기로 적용 시켜놓고, database안에 포함된 tabel 확인 및 내부 column 구성을 확인합니다.


    가장 위의 명령어 문 부터 쭉 따라 치시면 됩니다.

    이제 데이터를 입력해 볼게요. 저는 터미널이 편해서 터미널로 하겠지만, workbench 쓰실분은 쓰셔도 됩니다.


    입력이니까 INSERT 구문을 사용합니다.

    당연하게도 Id는 auto increment 였죠? 그 외의 데이터만 입력해줄게요.


    흠.. 굳이 한번 코드를 해석해보자면 ^^

    'offers  table에 이름, 이메일, 문자 순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겠습니다.' 정도가 되겠네요 ㅎㅎ

    입력하고 잘 들어갔는지 확인한번 해보시고, 데이터를 몇개 더 넣어주세요.


    추가++


    데이터를 변경하고 싶으면 UPDATE 구문을 사용하겠지만, 

    workbench에서 변경하는 방법도 은근 편리해서 소개를 드려볼까 합니다.

    만약 사용자 이름의 첫자를 대문자로 바꾸고싶다 하시면, 

    아래 창에 입력되어있는 데이터를 직접 고치고, 오른쪽 하단 'Apply'를 누르시면 됩니다.



    Apply 버튼은 제가 색칠한 부분에 있습니다.

    툴 디자인 셋팅을 어떻게 고치는지는 모르겠지만.. 왜 저딴식으로 색들이 칠해져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ㅎㅎ;

    사실 저런게 불편해서 터미널 사용했는데.. workbench도 저런 문제만 아니면 매우 편리합니다.

    excel 파일로 export 또는 excel로 부터 import도 가능하구요. 아무튼 이런 이유로 소개 드려봤어요.

    고생하셨어요. ^___^/


    굳이 필요 없으시다면 안써도 상관은 없을거 같아요.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minchoba.